요즘 쇼핑할 때,
"동영상으로 바로 설명해주면 더 믿을 텐데…"
이런 생각, 한 번쯤 해본 적 있지 않나요?
이미 중국에서는 그게 일상이 되어 있어요.
바로 '라이브커머스(live commerce)' 덕분에요.
"해외에서는 라이브커머스가 이미 쇼핑의 표준이고, 한국은 아직 성장 중인 시장" 이에요.
중국 라이브커머스 시장, 어디까지 왔을까?
▷ 1. 시장 규모
- 2024년 기준, 중국 라이브커머스 시장 규모는 약 5,000억 위안(한화 약 93조 원)을 돌파했어요.
- 온라인 쇼핑 거래의 약 20% 이상이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이뤄져요.
▷ 2. 대표 플랫폼
- 타오바오 라이브(Taobao Live)
- 콰이쇼우(Kuaishou)
- 도우인(Douyin, 중국 틱톡)
▷ 3. 특징
- 전문 쇼호스트가 아니라, 브랜드 대표, 공장장, 심지어 농부까지 직접 출연해요.
- "찐 후기", "즉시 소통"을 무기로, 판매 전환율이 높아요.
- 상위 인플루언서들은 방송 한 번에 수백억 매출을 올리기도 해요.
▷ 4. 라이브커머스 운영 방식
- 단순히 제품 설명이 아니라
게임, 이벤트, 쿠폰 증정 등을 섞어
엔터테인먼트형 쇼핑으로 진화했어요.
※핵심 정리
중국에선 '쇼핑'이 아니라 '쇼'를 판다.
그럼, 우리나라는 라이브커머스 시장은 어떨까?
▷ 1. 시장 규모
- 2024년 한국 라이브커머스 시장 규모는 약 6조 원 정도로 추산돼요. 점점 한국 라이브커머스 시장 규모는 커지고 있어요.
- 중국과 비교하면 약 15배 차이.
▷ 2. 대표 플랫폼
- 네이버 쇼핑라이브
- 쿠팡 라이브
- 카카오 쇼핑라이브
- 11번가 라이브커머스
▷ 3. 특징
- 브랜드 홍보성 성격이 아직 강해요.
- 전문 호스트 중심이고, 연예인 활용 비율 높음.
- 방송 당 매출은 평균 수천만 원대.
▷ 4. 문제점
- 콘텐츠 다양성 부족: 재미없는 단순 제품 소개에 그치는 경우 많음.
- 전환율 한계: 실시간 소통이 부족하거나 이벤트가 적으면 구매까지 이어지지 않음.
※핵심 정리
아직 "라이브로 쇼핑"보다는 "구경하는 방송"에 가까워요. 그렇기때문에 앞으로 가능성이 풍부해요.
□ 우리가 주목해야 할 포인트
☑ 단순 '제품 소개'가 아니라, 쇼와 스토리를 결합할 것
☑ 브랜드 대표, 개발자, 현장 전문가가 직접 출연하면 신뢰도 UP
☑ 퀴즈, 룰렛, 라이브 할인 같은 인터랙션 요소 적극 활용
☑ 구매 링크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할 것 (2분 이내 구매 가능)☑ 짧고 임팩트 있는 라이브 구성: 30분 이내 핵심만 전달
마무리
중국은 이미 라이브커머스로 세상을 뒤흔들었고,
우리는 이제 막 "진짜 재미있게 파는 법"을 배우는 중이에요.
하지만 아직 늦지 않았어요.
"방송하듯이 파는 시대" 는 이제 막 시작됐거든요.
지금 이 흐름을 읽고,
라이브커머스를 '팔로우'가 아니라 '리드'하는 쪽으로 움직여야 해요.
당신이라면, 어떤 스토리를 라이브로 보여주고 싶나요?
'식품경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베트남식 연유커피, 집에서도 만들 수 있을까? 카페 쓰어다 레시피 공개! (14) | 2025.05.17 |
---|---|
요즘, 오프라인 매장이라도 반드시 온라인샵을 함께 운영해야 하는 이유 (11) | 2025.04.25 |
밥 대신 빵? 요즘 뜨는 ‘구황작물빵’ 한 끼 식사로 얼마나 좋을까? (7) | 2025.04.17 |
손님 없는 가게, 소규모 클래스와 오프라인 체험으로 다시 살아나는 법 (12) | 2025.04.02 |
온라인 마켓을 운영하고 싶을때, 카페24 운영 방법과 자격 조건 (3) | 2025.04.01 |